야미 카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미 카간은 동돌궐의 카간으로, 바가 카간 또는 이쉬바라 카간의 아들로 추정된다. 597년 수나라에 혼인을 요청하며 안의 공주를 아내로 맞이했고, 수나라의 지원을 받아 툴란 카간을 몰아내고 기민 카간으로 책봉되었다. 그는 수나라와 고구려 사이에서 외교적 입지를 다졌으며, 고구려와의 군사적 동맹 제의에도 중립을 유지했다. 609년 사망했으며, 여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09년 사망 - 장손성
장손성은 수나라의 우효위장군으로서 돌궐 평정에 기여하고 뛰어난 외교 능력을 발휘하여 돌궐 분열을 위한 책략을 펼쳤으며, 천금공주 사건에서 공을 세워 어양군 태수와 우효위대장군에 임명된 인물이다. - 609년 사망 - 아단 막 가브란
아단 막 가브란은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 달 리어타 왕국을 통치한 왕으로, 주변 민족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603년 데그사스탄 전투 패배를 겪었으며, 성 콜룸바로부터 왕으로 서품을 받은 최초의 대관식 사례로 여겨진다. - 동돌궐 - 시피 카간
시피 카간은 609년 또는 611년에 동돌궐의 카간이 되어 수나라 멸망 전 세력을 확장하고 당나라 건국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수나라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우고 수 양제를 포위하여 화친을 맺고 당 고조 이연을 지원했으나 619년 사망하여 동돌궐 제국에 혼란을 가져왔다. - 동돌궐 - 이넬 카간
이넬 카간은 돌궐 제2제국의 카간이자 카파간 카간의 아들이었으나 왕위 쟁탈전 중 퀼 티긴에게 살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왕위 계승의 정당성 논란을 야기했다. - 돌궐의 카간 - 빌게 카간
빌게 카간은 716년부터 734년까지 동돌궐을 통치한 카간으로, 쿠데타로 즉위하여 튀르크족 부흥을 이끌었으며, 당나라와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부이룩 초르에게 독살당했다. - 돌궐의 카간 - 시피 카간
시피 카간은 609년 또는 611년에 동돌궐의 카간이 되어 수나라 멸망 전 세력을 확장하고 당나라 건국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수나라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우고 수 양제를 포위하여 화친을 맺고 당 고조 이연을 지원했으나 619년 사망하여 동돌궐 제국에 혼란을 가져왔다.
야미 카간 | |
---|---|
야미 카간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시나 란간 (阿史那染幹) |
칸의 칭호 | 야미 카간 (𐰖𐰢𐰃:𐰴𐰍𐰣) |
존칭 | 이리 진두 계민가한 (意利珍豆啟民可汗) 일 이두크 자미르 카간 (El Ïduk Jamï(r) Qağan) |
통치 | |
통치 기간 | 603년 – 609년 |
이전 통치자 | 달두가한 |
후임 통치자 | 시비 카간 |
가문 | |
왕가 | 아시나 부족 |
아버지 | 이시바라 카간 |
배우자 | 안의공주 (安义公主) 의성공주 (義成公主) |
종교 | |
종교 | 텡그리 신앙 |
2. 배경
야미 카간의 부모는 명확하지 않지만, 바가 카간[11] 또는 이쉬바라 카간의 아들 중 한 명으로 추정된다.[12] 그는 툴란 카간 휘하에서 동부 부족을 다스리는 종속적인 카간이었으며, 톨리스 카간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2. 1. 수나라와의 관계
야미 카간은 수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597년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혼인을 요청했고, 배구의 계략으로 툴란 카간의 북주 출신 카툰인 천금 공주(수나라에서는 대의 공주)를 죽였다. 그 결과, 수 문제는 약속대로 안의 공주를 야미 카간에게 시집보냈다.[12] 안의 공주가 사망한 후에는 599년 양해(杨谐)의 딸인 의성 공주와 결혼했다.[13]599년 겨울, 문제는 야미 카간을 '''계민 카간'''으로 책봉했고, 장손성에게 명하여 계민 카간의 백성을 수용하기 위한 대리성(大利, 현재의 후허하오터)을 건설하게 했다.[13]
601년 겨울, 수 문제의 명으로 양소가 이끄는 군대와 연합하여 타르두를 공격했다. 603년 타르두가 패배하고 토욕혼으로 도망치자, 계민 카간은 돌궐 제위를 차지했고, 이로써 돌궐은 동서로 분열되기 시작했다.[13]
607년 봄, 계민 카간은 낙양에서 수나라 양제를 알현했고, 양제는 그에게 많은 명예와 재물을 하사했다.[13] 609년 봄, 계민 카간은 다시 양제를 방문하여 많은 보물을 받았다.[13]
수나라와의 관계는 고구려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607년 고구려 영양왕이 동돌궐과 군사 연대를 체결하여 수나라를 견제하려 사신을 보냈으나, 마침 수 양제가 동돌궐을 방문 중이었기에 고구려 사신은 수 양제를 만나게 되었다. 양제는 고구려 사신에게 조공을 요구하며 그렇지 않으면 공격할 것이라고 위협했다.[19][20] 이로 인해 고구려와 동돌궐 간의 군사 연대는 성사되지 못했다. 하지만 야미 카간은 고구려-수 전쟁 당시 중립적인 태도를 취했다.[11][12]
2. 2. 동돌궐의 재통일
597년, 야미 카간은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중국 공주와의 혼인을 요청했다. 배구는 이를 기회로 보고 그에게 툴란 카간의 북주 출신 카툰인 천금 공주(수나라에서는 대의 공주로 불림)를 죽이라고 말했다. 공주는 살해되었고 황제는 약속을 지켜 안의 공주(安义公主)를 그에게 시집보냈다.[12]그러나 야미 카간의 야심 찬 행동은 툴란 카간에게 분노를 일으켰다. 툴란은 597년과 599년에 수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침략군을 모으기 시작했지만, 매번 야미 카간이 미리 황제에게 보고했다. 이에 툴란은 타르두에게 접근하여 야미 카간을 공격하기 위해 힘을 합쳤다. 공격은 성공했고 야미 카간은 형제와 조카들이 침략 중에 죽임을 당한 후 중국으로 도망쳐야 했다.[12]
599년 겨울, 그는 문제 황제에 의해 '''기민 카간'''(啓民可汗)으로 책봉되었다. 한편 안의 공주가 사망했고 이번에는 양해(杨谐)의 딸인 의성 공주와 결혼했다. 황제는 또한 장손성에게 기민 카간의 백성을 수용하기 위해 대리성(大利, 현재의 후허하오터)을 건설하도록 위임했으며, 기민 카간을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12]
한편 툴란은 그의 부하들에게 살해당했고 타르두는 600년/601년에 왕위를 차지하고 빌게 카간의 칭호를 주장했다.
601년 겨울, 문제 황제는 양소에게 군대를 지휘하도록 위임하여 기민 카간과 연합하여 타르두를 공격하게 했다.[12]
이에 앞서, 사발략 카간의 아들인 염건은 북방에서 '''돌리 카간'''(테리스 카간)으로 칭하며,[16] 멋대로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구혼했다. 이로 인해 대가한인 도람 카간의 분노를 사게 되어 동돌궐은 두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597년, 돌리 카간은 안의공주를 아내로 맞이했다. 문제는 동돌궐을 이간질하기 위해 돌리 카간을 우대했다.
599년, 도람 카간이 달두 카간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돌리 카간을 공격하여 그의 형제와 조카들을 죽이고 울주를 침략했다. 밤에 돌리 카간은 수나라 사신인 장손성과 함께 겨우 5명의 기병으로 수나라에 귀순했다. 10월, 돌리 카간은 수나라 문제로부터 '''의리진두 계민 카간'''이라는 칭호를 받으며, 대리성을 건설했다. 이때 안의공주가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문제는 종실의 딸인 의성공주를 계민 카간에게 시집보냈다. 12월, 도람 카간이 부하에게 살해당하자, 달두 카간은 보가 카간(보자 카간)이 되어 계민 카간과 대립했다. 그러나 수나라와 손을 잡은 계민 카간이 항상 우위를 점했다.[16]
601년, 그동안 계민 카간에게 속했던 곡설 등의 여러 부족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문제는 조서를 내려 양소를 운주도행군원수로 삼고 계민 카간을 이끌고 북정을 감행했다. 보가 카간은 다시 계민 카간을 공격했지만 패배하여 토욕혼으로 도망쳤다.[16]
3. 통치
타르두가 603년에 패배한 후, 토욕혼으로 도망쳤다. 길이 열리자, 계민 카간은 돌궐 제위를 차지했고, 이는 가한국의 서부와 동부 간의 분열을 확실하게 시작하게 했다.
607년 봄, 계민 카간은 양제를 알현하기 위해 낙양으로 갔다. 그해 여름 양제가 그를 방문했을 때, 가한의 복종과 충성심을 본 양제는 그에게 많은 명예와 재물을 하사했다. 고경, 우문필, 하약필 등의 고위 관리들이 사적으로 불만을 표하자, 양제는 그들의 비판을 알고 그들을 모두 죽였으며, 계민 카간에게 과도한 보상을 주는 것을 반대했던 수 위를 그의 직위에서 해임했다.[13]
609년 봄, 계민 카간은 다시 양제를 방문하여 많은 보물을 하사받았다. 그는 나중에 병으로 사망했다.
3. 1. 고구려와의 관계
영양왕은 수나라를 견제하기 위해 동돌궐과 군사 연대를 맺으려 했다. 607년, 영양왕은 야미 카간에게 사신을 보내 동맹을 제의했으나, 마침 수양제가 동돌궐을 방문하여 야미 카간을 만나러 온 상황이었다. 야미 카간은 수양제에게 고구려 사신이 와 있음을 알렸고, 결국 고구려 사신은 수 양제를 만나게 된다.[18]이때 황문시랑 배구(裴矩)는 양제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고구려는 주나라 때 기자가 봉해진 곳이며, 한나라 때에는 3군, 진나라 때에는 요동으로 복속되었던 땅입니다. 지금은 신하로 복종하지 않고 외역이 되었기에 선제께서 정복하고자 하셨습니다." 배구는 고구려 사신을 협박하여 입조하게 할 것을 제안했다.[19]
양제는 배구의 말을 듣고 고구려 사신에게 조알을 요구하며, 그렇지 않으면 계민 카간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공격할 것이라고 말했다.[20] 이로 인해 고구려와 동돌궐 간의 직접적인 군사 연대는 성사되지 못했다.
하지만 야미 카간은 고구려-수 전쟁 당시 차남 출라 카간을 수나라 군영에 보내 종군하게는 했지만, 고구려를 적으로 선포하고 군사를 보내 공격하지는 않으면서 사실상 고구려와 수나라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다.
4. 가족
야미 카간은 안의공주(安義公主)와 처음 결혼했고, 안의공주가 사망한 후에는 의성공주(義成公主)와 결혼했다. 그는 토욕혼 출신의 첩 또는 아내도 있었다.[14] 야미 카간에게는 여러 자녀가 있었는데, 시비 가한, 처뤄 가한, 일리그 가한, 옌토 샤드(延陀設)[15], 치지 샤드(叱吉設)[15], 보뤼 샤드(步利設)[15] 등이 그들이다.
5. 대중문화
참조
[1]
서적
Tujie Shi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
서적
Ambassadors from the islands of immortals: China-Japan relations in the Han-Tang period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논문
Taohuashi and Tiankehan (Tangri Qaghan)
http://www.eurasianh[...]
[4]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5]
간행물
Onginsky monument; Monuments of ancient Türkic writing of Mongolia, Kyrgyzstan
[6]
간행물
On the language of the Kutlug Kagan monument; News of the Academy of Sciences of the Kazakh SSR, Series of social sciences
[7]
서적
Eski turk yazitlarі
Turk Tarih Kurumu basimevi
[8]
웹사이트
Memorial Complex Eletmiš Yabgu (bilge atačim)
https://bitig.kz/?la[...]
[9]
논문
"Extended Summary"
https://www.academia[...]
[10]
웹사이트
Memorial Complex Eletmiš Yabgu (bilge atačim)
https://bitig.kz/?la[...]
[11]
문서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2]
문서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13]
웹사이트
Emperor Yang of the Sui Dynasty: His Life, Times, and Legac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
[14]
서적
Gök-Türkler
Türk Tarih Kurumu Basımevi
1995–2004
[15]
서적
Die chinesischen Nachrichten zur Geschichte der Ost-Türken (T'u-küe)
Otto Harrassowitz
[16]
문서
테リス・カガン(Tölis qaγan)とは、テリス(Tölis)すなわち東部を管轄する小可汗のことで、東面可汗のこと。これに対し西面可汗はタルドゥシュ・カガン(Tarduš qaγan)という。
[17]
서적
Emperor Yang of the Sui Dynasty: His Life, Times, and Legac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8]
문서
오늘날 [[허베이성]] [[친황다오 시]] [[루룽 현]]을 말한다.
[19]
문서
수서 (역사서)
[20]
문서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